▲ 신진식 作, “쇠” 중 한 장면, 1994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신진식 교수의 비디오아트 작품이 오는 11월28일부터 2020년 5월31일까지, 국립현대미술관 주최 및 후원으로,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3, 4, 5, 6전시실에서 개최되는 《한국 비디오 아트 7090: 시간 이미지 장치》전에 전시된다. 

 김구림, 박현기 등 한국 비디오 작가 60여 명의 130여 점 비디오 영상, 영상 설치, 사진, 아카이브 자료 등이 전시될 《한국 비디오 아트 7090: 시간 이미지 장치》는 197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한국 비디오 아트 30여 년의 역사를 조망하는 기획전이다. ‘시간 이미지 장치’를 부제로 하는 이번 전시는 시간성, 행위, 과정의 개념을 실험한 1970년대 비디오 아트에서 시작됐다.
 이후 1980~90년대 장치적인 비디오 조각, 그리고 영상 이미지와 서사에 주목한 1990년대 후반 싱글채널 비디오 및 멀티채널 비디오에 이르기까지 한국 비디오 아트의 세대별 특성과 변화를 조명했다.
 한국의 대표적인 비디오 아티스트 60여 명의 130여 점 작품을 선보이는 이번 전시는 한국 비디오 아트 30년을 재맥락화하고 한국 비디오 아트의 독자성을 탐색한다.
 비디오 매체와 관계하는 다양한 예술 실천으로서 한국 비디오 아트는 1970년대, 실험과 새로움, 대안의 의미를 가지며 한국미술계에 등장하였다.
 이후 한국의 비디오 아트는 당대 한국현대미술의 지형 변화뿐 아니라 TV와 VCR, 비디오 카메라와 컴퓨터 등 매체와 테크놀로지의 변모와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변모해 왔다.
 이번 전시는 미술 내·외부의 환경 및 매체와 미디어의 변화 속에서 한국 비디오 아트의 전개 양상을 입체적으로 살핀다.
 전시는 ‘한국 초기 비디오 아트와 실험미술’, ‘탈 장르 실험과 테크놀로지’, ‘비디오 조각/비디오 키네틱’, ‘신체/퍼포먼스/비디오’, ‘사회, 서사, 비디오’, ‘대중소비문화와 비디오 아트’, ‘싱글채널 비디오, 멀티채널 비디오’ 등 총 7개 주제로 구성된다.
 테크놀로지와 영상문화, 과학과 예술, 장치와 서사, 이미지와 개념의 문맥을 오가며 변모, 진화했던 한국 비디오 아트의 역사를 ‘시대’라는 횡과 ‘동시대 한국현대미술’이라는 종을 씨줄과 날줄로 삼아 다각도로 해석되고 있다. /민지영 기자
저작권자 © 중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