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 영 상 건국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지난 21일 충주시는 ‘인구 1만명 이상 확대를 위한 시민토론회’를 개최했다. 현재 충주시 인구가 21만 정도이고 충주시장의 공약이 인구 25만인 것을 고려하면 충주시는 일년에 1만명씩 늘려갈 심산인가 싶다. 사실 충주를 비롯한 거의 대부분의 지방중소도시가 인구증가에 몰두하고 있다. 지속되는 수도권인구의 증가와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인구감소의 위기를 지방도시가 먼저 맞고 있는 것이다. 충주는 과거 중원경으로 신라의 2소경 중 하나였고 조선 영조 때에는 한양에 이어 두 번째로 인구가 많았다. 그리고 지금의 충남북 전체를 관할하는 충청감영이 있던 한반도의 주요 도시였다. 물론 그 당시 중원경이나 충주목과 지금의 충주시는 그 관할영역에 있어 차이가 있지만 충주지역이 그 중심이었음은 마찬가지이다. 역사적으로 충주가 발전했던 이유는 당시 충주가 경상도와 한양을 잇는 주요 도로망의 중심이었고 남한강 수로가 있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경부선철도가 놓이면서 국가의 중심축이 대전을 경유하는 경부선으로 바뀌고, 도청이 청주로 이전되면서 충주의 발전은 정체되기 시작했고, 지역의 염원과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낙후를 면치 못하고 있다. 충주시가 한 때 인구증가의 고육지책으로 지역 대학의 학생들에게 하숙집이나 자취방 등으로 주민등록을 옮기도록 유도하고 그 대가로 소정의 금전을 지불한 적이 있다. 학생들은 보편적으로 한 두 학기 지나면 방을 옮기거나 졸업 또는 군에 입대하기 때문에 인구증가에 실질적 효과를 발휘하기도 어려웠을 뿐만 아니라 교육적·윤리적 비난의 소지도 있었다. 그리고 이는 충주시를 비롯한 많은 지방자치단체들이 주민등록상 인구에 지나치게 매달리고 있다는 증거이다. 주민등록인구는 실거주인구와는 다르다. 주민등록인구가 자치단체 조직규모 등 여러 가지 행정상의 기준이 되는 것은 사실이지만, 지역경제 활성화나 지역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는 그냥 주민등록만 두고 있는 인구가 아니라 실제로 거주하는 인구이며, 더 중요한 것은 실제로 이 지역에서 경제활동을 하는 인구이다. 그래서 유동인구가 중요하다. 지금 서울을 활보하는 사람들의 상당수는 경기도민이다. 그리고 천안삼거리에 인구가 많아서 천안이 지금처럼 발전된 것이 아니다. 먼저 천안삼거리에 많은 사람들이 모여들자 이들의 경제 수요를 감당하기 위한 일자리가 생겨났고 결국은 많은 사람들이 살게 된 것이다. 유동인구가 일자리 창출과 정주인구의 증가를 유발했던 것이다. 이러한 유동인구는 교통의 편의성과 관광의 활성화를 통해 증가될 수 있다. 충주는 한반도의 중심에 있고 4통8달의 도로망을 자랑한다. 4통8달의 도로망에 활용의 편의성을 제고하고, 이를 거점으로 연계되는 노선관광을 마련하여, 유동인구를 증가시키고 일자리 창출과 정주인구의 확대로 이어지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4통8달의 도로망을 한 곳에서 활용할 수 있는 복합환승센터가 필요하다. 지금 충주의 도심에 화물터미널과 노선변경용 선로가 포함된 단순 철도환승역을 만들려하고 있다. 유동인구 증가를 통한 지역발전을 위해서는 강남고속버스터미널과 그 지하철역과 같이 한 곳에서 여러 교통수단과 노선을 바꾸어 탈 수 있는 여객중심의 복합환승센터가 도심의 넓은 공간에 건설되어야 한다. 그리고 화물터미널과 노선변경용 철로는 외곽지역에 설치되어야 도심의 환경과 미래를 보장할 수 있다. 과거 충주가 발전했던 이유가 국가의 중심도로 때문이었고, 충주가 작아진 이유가 경부선 철도로 인해 국가중심에서 멀어진 때문이라면, 그리고 이제라도 과거의 영광을 되찾고 싶다면, 도로망을 최대한 활용토록하고 국가중심축을 옮기려는 노력이라도 해야 하지 않겠는가?
저작권자 © 중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