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영하 기자

   요즘 충주지역 사회 핫 이슈는 수안보도시재생 뉴딜 사업 편입 토지 매입 건과 관련해 충주시의회가 ‘발목잡기’를 벌인다는 것이다.

 일부 장학생(?) 기자들이 사실 관계를 제대로 확인도 하지 않고 집행부 입맛에 쏙 맞는 구미당기는 기사를 쓴 탓이기도 하다.
 이 때문에 행정복지위원회 일부 위원들은 아주 나쁜 의원들로 매도당하고 있다. 심지어 충주시의회 공유재산관리계획 승인 없이 옛 한국전력수안보연수원 부지를 무단 매입해 등기이전까지 마친 것을 추적해 폭로한 의원 은 왕따 당하기 십상이다.
 달리 생각하면 이를 단독 보도한 한 지방언론사 기자를 제외한 나머지 언론사와 기자들은 특히 나부터 통렬한 자기반성이 필요한 대목이다.
 평소 지역 문제와 관련해 지대한 관심이 있었기 때문에 심층 탐사보도로 인해 특종을 한 모범사례라고 볼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의회가 예산을 승인해 주고 집행에 태클을 건다는 식으로 무책임한 보도행태를 보인 일부 언론에 유감을 표하고 싶다.
 재차 부연하면 공유재산관리계획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가운데 쓴 글에 불과하다.
 굳이 절차를 따진다면 충주시가 잘못한 것이 드러난 사실이기 때문에 더 이상 언급하고 싶지 않다.
 게다가 충주시의회가 보도 자료까지 배부하며 잘못된 기사에 대해 정정을 요구했으면 당연 조치해 주는 것이 마땅했다.
 확인도 없이 한 언론이 보도한 것을 그대로 베껴 쓰고 무엇이 잘못된 줄도 모르고 우왕좌왕하는 태도를 보면 부끄럽기 짝이 없다.
 그들은 지난 총선 때도 누가 먼저랄 것도 없이 앞장서 특정 후보 편들기에 
사력을 다했다.
 그 결과 어떤 대가로 보상을 받았는지 알고 싶지도 않지만 솔직히 배불리기라도 했으면 좋겠다. 먹고 살기위한 방편이라고 하기에는 분명 도에 지나친 면이 있다.
 기자 나름대로 뉴스 레벨이나 편집 및 보도 기준을 정하는 것이 천차만별이지만 중요한 점은 픽션이 아니라 팩트와의 싸움이라는 것이다.
 
조길형 충주시장 때부터 무너진 세 가지 원칙
 
  또 다른 하나는 자치단체장의 빈곤한 정신적 철학과 공허함이 주민들의 불안을 가중시킨다는 점이다.
 그를 부추긴 일부 세력들 때문에 조 시장 죽이기 위한 공분과 억울한 사연은 서서히 시작되고 있음을 그들은 느끼지도 못하고 있다.
 2014년 7월 출범한 조길형 충주시장 시대부터 지역사회에서 변해 가는 것 중 두드러진 것을 세 가지로 요약해 볼 수 있다.
 첫째, 언론이 알아서 한다는 긍정적인 면 보단 알아서 긴다는 표현이 적합할 정도로 비판적인 기사가 역대 시장들에 비해 거의 없었다는 점이다.
 특히, 막강한 경찰 조직력과 정보력 앞에 기자들 스스로 작아질 수밖에 없었다고 본다.
 둘째, 시민단체가 알아서 조 시장한테 ‘백기투항’해 비판 여론을 형성할 기회를 원천적으로 차단했다는 점이다.
 그나마 모 시민단체가 명맥을 유지해왔지만 언제부터인지 그 단체 대표도 활동가 모습보단 평범한 시민으로 돌아와 시정에 힘을 보태왔다는 것이다.
 셋째, 충주지역 오피니언 리더 들은 지역발전을 위한 목소리를 내기는커녕 보신주의에 골몰해 조 시장 체제 구축에 효자 노릇을 톡톡히 했다는 점이다.
 이처럼 지역의 언로가 막히고 비판 문화가 피폐해지고 정신적 스승이 없는 이곳에 무슨 소통 문화를 꽃 피울 수 있겠는가?
 사실을 숨기지 아니하고 그대로 씀을 이르는 말로 춘추 시대 진(晉)나라의 사관(史官)이었던 동호(董狐)가 위세를 두려워하지 않고 사실을 사실대로 직필(直筆)하였다는 데서 유래된 '동호지필이' 새삼 그리운 시대이다.
저작권자 © 중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